분류 전체보기 (419) 썸네일형 리스트형 국화 들국화가 아니라서 그런 걸까. 화분이나 화단에서 본 국화 종류는 참 많았다. 사진을 보니 국화는 몽실몽실한 국화부터 홑꽃도 있고 겹꽃도 있다. 붉은 색부터 얼룩덜룩한 꽃까지. 색깔도 정말 다양했다. 일단 크게 찍은 국화부터 색깔과 잎 모양이 다른 국화를 추려내기로 했다. 비슷하지만 다르다. 모양은 다 다르지만 향기는 달고 깊다. 한참 앉아 꽃을 보면 잔잔한 꽃에 정을 주다 국화 단내에 흠뻑 취하고 만다. 벌들도 향기에 취해 느긋하다. 향기를 맡다보면 편안해지고 잠시 모든 걸 내려놓을 수 있다. 국화 앞에서는 멈춤, 몸도 마음도 그럴 수 있다. 그래서 사군자에 속하는 것인지도. 된서리가 내릴 때까지 아니 햇살 좋고 바람을 막아주는 곳에서는 한겨울에도 국화를 만날 수 있다. 늦가을 분위기의 아늑한 곳에서는 .. 석류 석류가 농익으면 갈라져 붉은 알맹이가 보인다고 생각한 건 착각이었던 모양이다. 그런 모습을 본 것도 같은데 나무에 달린 석류는 영 갈라질 것 같지가 않다. 아파트단지 화단이나 주택가에 어느 댁은 화분에 석류를 심어 놓기도 했다. 맑고 투명한 주홍색 꽃 어디에 그렇게 큰 열매가 숨어 있다 달리는 건지. 꽃보다 열매다. 석류 껍질을 벗기면 각을 이루며 빈틈없이 둥근 공간이 각진 열매로 꽉 차 있다. 큐빅 퍼즐 맞추듯 살짝 틀면 짙붉은 알갱이가 떨어진다. 석류 속은 다듬지 않은 원석으로 가득 찬 느낌이다. 음흉함이 없는 맑은 빛이다. 꽃빛이 투명하고 맑더니 열매가 보석처럼 속이 환히 비친다. 석류 껍질을 벗기고 옥수수 알을 떼어 놓듯 접시에 담으며 문득 “정해진 운명이었어.” 그렇게 정해졌다가 드러나는 것인지.. 은행나무 방학동 연산군묘 바로 앞에 있는 은행나무 보호수1호는 수나무다. 연산군묘에서는 은행나무를 지그시 내려다 볼 수 있다. 은행나무 전체를 보기는 원당샘이나 원당정이 낫다. 아파트와 주택가가 바로 옆에 있어 은행나무를 찍으면 배경이 어수선하다. 은행나무 전체를 담기가 쉽지는 않다. 사방이 다 막혀 있어서 그런지 실력 탓인지 사진이 지저분하다. 은행나무 보호수1호를 보며 순환을 생각한다. 잎이 나고 자라면서 푸른 잎이 노랗게 변하다 된서리를 맞고 한꺼번에 은행잎이 떨어지고 나면 앙상한 나무가 쓸쓸해 보인다. 치료 받은 자리가 선명하게 드러나고 기우는 몸을 여러 개의 지지대로 버티고 선 모습은 안쓰럽다. 그 모습이 고단해 보여 보내 줘야하는 것은 아닐까하는 생각을 한다. 사는 것이 어쩌면 죽는 것보다 더 힘들지는.. 들깨 밭 지금은 들깨가 가득 찼던 들깨 밭보다는 깻잎에 익숙하다. 시장에 가면 노끈으로 묶어놓은 들깨 잎을 천원, 천오백원이면 살 수 있다. 온 식구가 둘러앉아 다른 쌈 채소와 함께 삼겹살을 싸먹으면 들깨향이 입안이 가득하다. 그 깻잎 향기가 이젠 들기름보다 익숙하다. 어느 해, 주말농장 들깨 밭에 들깨를 베지 않아 누런 들깨 대궁이 그 다음해 봄까지 있었다. 다 된 농사가 방치 된 것을 보면 농부가 탈이 난 것이다. 그런 경우가 아니라면 10월 중순쯤 들깨가 말라 쏟아지기 전에 베어 놓는다. 들깨 대궁이 마르기 시작하면 갑바를 펼쳐놓고 들깨를 털었다. 그때는 들깨 밭이 참 많았었다. 학교 길에서도 들깨 향기를 맡을 수 있었다. 여린 들깨 잎을 따는 걸 본 적은 없다. 연한 들깨 잎은 서울사람 몫이다.. 이전 1 ··· 54 55 56 57 58 59 60 ··· 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