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진을 찍고

(396)
나도좀개구리밥, 개구리밥 개구리가 많은 곳에 떠 있는 부평초라고 해서 개구리밥이라고. 개구리밥보다 더 작은 아마씨 같은 잎이 나도좀개구리밥이다. 나도좀개구리밥과 개구리밥은 수련이 피는 원당정 연못 위를 꽉 채운다. 물 위에 동동 떠 있는 개구리밥을 찍다 개구리눈을 보고 놀란다. 어릴 적 논두렁길을 걸어갈 때면 풀쩍 달아나던 그 개구리를 닮았다. 다른 것이 있다면 눈이 마주쳐도 달아나지 않고 그 자리에 있다는 것이다. 빛나는 눈이 아니라면 죽은 것은 아닐까 싶을 정도로 개구리밥도 흔들리지 않는다. 개구리밥이 파랗게 뒤덮은 곳에는 어김없이 개구리가 있다.
산앵두나무꽃 산앵두꽃 꽃말을 찾아보니 ‘수줍음, 오로지 한사랑’. 그 때문이었나보다. 꽃이 화사하면서도 풋풋하다. 북한산 둘레길에 어느 댁 앞마당에서 피던 산앵두꽃이 그랬다. 그렇게 오가면서 보던 산앵두나무에서는 몇 해를 별러도 산앵두가 열리는 것을 보지는 못했다. 화사한 꽃이 지고나면 꽃만큼 관심을 갖지 않아 그랬던 건지. 어쩌면 앵두꽃이 지고 나면 동글동글 파랗게 맺혀있던 앵두가 제 꽃보다 예쁘게 붉게 익어가던 그 앵두같은 열매를 기대하다 보지 못했는지도 모르겠다. 폴더에 저장된 문패를 열고 들어가니 그 속에는 여전히 산앵두꽃이 화사하다. 혼자 보기 아깝다는 생각에 열매 없는 산앵두꽃을 올리기로 한다. 참을성이 없어진 것이다. 자기만족을 위해 시작된 사진 올리기에 열을 올리다가 포기하는 꼴이다. 그럼에도불구하고 ..
금불초 연산군묘 아래에 자리 잡은 원당정에 핀 금불초를 처음 보고는 철 모르고 핀 들국화 인줄 알았다. 들국화보다는 꽃이 조금 크고 꽃대가 꼿꼿하다. 금불초는 여러해살이풀로 여름에 피는 국화라해서 하국 또는 유월국으로도 불린다고 한다. 노란 들국화가 유월에 핀 것으로 착각할만 했던 것이다. 어린순과 부드러운 잎은 나물로 먹는다고. 내가 다시 본 금불초는 관상용이었다. 우체국 화단에서 꼿꼿하게 햇빛을 머금고 찬란하게 피고 있었다. 금불초는 가을에 피는 들국화보다는 귀한 꽃이다. 예쁘게 찍은 사진이 없어 다시 찍어보려고 몇 해를 주변을 살피고 다녔는데 좀처럼 눈에 띄지 않던 꽃이었다. 금불초의 꽃말을 검색해보니 ‘비련’, ‘상큼함’이라고 한다. 꽃을 볼때면 우울했던 마음까지 환해지는 것을 보면 ‘상큼함’이란 꽃말이..
오갈피나무 엄마는 장독대 화분에 있던 오갈피나무를 오가피나무라고 부르신다. 오가피는 생약명으로 오갈피나무의 뿌리와 줄기의 껍질을 이르는 말이었다. 화분에서 까맣게 익은 오갈피나무 열매를 보고는 꽃은 한참 지나서야 봤다. 그 열매에 그 꽃이라는 것을 조각 맞추기를 하듯 몇 년이 지나서야 알았다. 엄마의 화분에 오갈피나무는 새순을 먹기 위해 고추 모를 심듯 심으셨을 것이다. 고추 꽃이 피고 파란 고추가 열리면 그 고추를 따서 밥상에 올리듯 새순을 따서 나물로 드셨다. 오갈피 꽃의 꽃말은 ‘만능’. 제 꽃말처럼 주로 순환계, 신경계, 운동계 질환을 다스린다. 오가피를 끓여 차로 이용하기도 하고 열매로는 즙을 만들어 먹기도 한다. 특히 중풍을 예방하고 핏속 나트륨 배출에 도움이 된다고 하니 몸이 찬 사람이라면 젊은이들이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