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을 찍고/꽃 자서전 (266) 썸네일형 리스트형 바늘꽃 ‘바늘꽃’ 검색을 해 봤다. 백과사전에 있는 바늘꽃은 지금 이 꽃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불러 익숙해진 이름 ‘바늘꽃’으로 부르기로 한다. 영희, 철수라는 이름이 흔했던 그 옛날처럼 말이다. 국어 교과서에 이름이 나올 정도로 영희, 철수는 많았다. 같은 이름에 다 다른 얼굴, 그랬던 것처럼. 바늘꽃은 당연히 그 이름이 맞겠거니 했었던 건 꽃을 보면 그 이름이 잘 어울린다. 나비 날개 같은 꽃잎에 뾰족하게 나온 꽃술 모양이 바늘을 닮아 있다. 꽃술 끝에 매달린 분이 이불을 꿰매던 그 바늘에 바늘귀를 꼭 닮았다. 바늘꽃을 보고 있으면 풀 먹인 홑청으로 이불을 감싸가며 꿰매시던 엄마가 떠오른다. 그때 실타래에 무명실을 길게 꿰어 놓았던 그 손가락 만하던 바늘이 생각난다. 그 무렵엔 추석이 다가오면 .. 체리 세이지 체리 세이지를 볼 때면 늘 새가 보이곤 한다. 이른 새벽 창호지문 밖에서 무리지어 지저귀던 그 참새소리가 들리는 기분이다. 무리지어 풀씨, 볍씨를 쪼아 먹던 참새가 사람 소리에 놀라 금방 날아오를 것만 같은 그 참새 같은 꽃이라면 그 꽃은 체리 세이지다. 체리 세이지는 골목길 주택가, 아파트 화단에서 흙이 넉넉한 곳이나 잔디가 깔려있는 넓은 마당에 울타리처럼 많이 심어져 있다. 자세히 보니 꽃 색깔이 빨간색, 빨간색에 하얀색, 하얀색. 꽃 모양도 사랑스럽지만 색깔이 곱고 예뻐서인지 옛날 봉숭아만큼 많다. 꽃봉오리나 꽃이 지는 모습이 생각나지 않는다. 싹이 트고 꽃줄기가 자라는 것도 모르다 꽃이 피면 체리 세이지가 있었네 하는 것이다. 체리 세이지는 그냥 그대로 제 모습대로 좋은 것인지. 지저귀는 새소리가.. 국화 들국화가 아니라서 그런 걸까. 화분이나 화단에서 본 국화 종류는 참 많았다. 사진을 보니 국화는 몽실몽실한 국화부터 홑꽃도 있고 겹꽃도 있다. 붉은 색부터 얼룩덜룩한 꽃까지. 색깔도 정말 다양했다. 일단 크게 찍은 국화부터 색깔과 잎 모양이 다른 국화를 추려내기로 했다. 비슷하지만 다르다. 모양은 다 다르지만 향기는 달고 깊다. 한참 앉아 꽃을 보면 잔잔한 꽃에 정을 주다 국화 단내에 흠뻑 취하고 만다. 벌들도 향기에 취해 느긋하다. 향기를 맡다보면 편안해지고 잠시 모든 걸 내려놓을 수 있다. 국화 앞에서는 멈춤, 몸도 마음도 그럴 수 있다. 그래서 사군자에 속하는 것인지도. 된서리가 내릴 때까지 아니 햇살 좋고 바람을 막아주는 곳에서는 한겨울에도 국화를 만날 수 있다. 늦가을 분위기의 아늑한 곳에서는 .. 은행나무 방학동 연산군묘 바로 앞에 있는 은행나무 보호수1호는 수나무다. 연산군묘에서는 은행나무를 지그시 내려다 볼 수 있다. 은행나무 전체를 보기는 원당샘이나 원당정이 낫다. 아파트와 주택가가 바로 옆에 있어 은행나무를 찍으면 배경이 어수선하다. 은행나무 전체를 담기가 쉽지는 않다. 사방이 다 막혀 있어서 그런지 실력 탓인지 사진이 지저분하다. 은행나무 보호수1호를 보며 순환을 생각한다. 잎이 나고 자라면서 푸른 잎이 노랗게 변하다 된서리를 맞고 한꺼번에 은행잎이 떨어지고 나면 앙상한 나무가 쓸쓸해 보인다. 치료 받은 자리가 선명하게 드러나고 기우는 몸을 여러 개의 지지대로 버티고 선 모습은 안쓰럽다. 그 모습이 고단해 보여 보내 줘야하는 것은 아닐까하는 생각을 한다. 사는 것이 어쩌면 죽는 것보다 더 힘들지는..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 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