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을 찍고/꽃 자서전 (266) 썸네일형 리스트형 베고니아 골목길이 환해서 보면 베고니아가 있었다. 골목길이 환하게 해가 들 때처럼 눈부시게 만드는 꽃은 베고니아다. 붉은 잎과 붉은 꽃. 붉은 꽃잎 속에 노란 실을 묶어 놓은 것 같은 그 노란 꽃술이 그저 그랬을 골목길을 환하게 한다. 베고니아 꽃은 담장에 매달아 놓은 화분이나 문 앞에 놓인 화분에서 봄, 여름, 가을 그리고 늦가을까지 늘 빨갛다. 딱 어느 순간 햇빛이 꽃 위에 내려앉을 때면 그냥 지나칠 수 없을 정도록 눈길을 끄는데 그때는 쪼그려 앉고는 한다. 사계절 화분은 늘 그 자리에 있다. 베고니아 꽃이 해마다 그곳 화분에서 같은 꽃을 피우는 것을 보면 다년 생이다. 동백꽃이 지듯 베고니아 꽃도 바닥에 즐비하다. 도톰한 잎이 울긋불긋해서 그런지 꽃이 진 자리가 크게 드러나진 않는다. 아욱 꽃 주말농장에서 핀 아욱 꽃이 신기했었다. 뚝뚝 줄기를 끊어 박박 문대 된장국을 끓였던 그 아욱도 꽃이 있었던 것이다. 줄기사이를 비집고 핀 흰 꽃이 당연한 듯 당연하지 않았다. 옛날에는 쭉쭉 클 새 없이 줄기를 잘라 꽃을 보지 못했던 모양이다. 사람 입맛도 달라진 것인지 아니면 마음껏 심어 아욱을 다 먹지 못한 것인지. 웃자라고 세서 쪼그라든 잎 사이로 꽃이 점점이 폈다. 실한 줄기와 넓적한 잎과는 달리 꽃은 아주 작다. 잘 보이지도 않는 꽃과는 달리 향기가 좋은지 배추 흰 나비가 날아들었다. 완두콩보다 작아 바짝 다가앉아야 하얀 꽃을 볼 수 있다. 키다리가 된 아욱이 가득 찬 밭에 날아다니는 배추 흰 나비가 꿈결 같다. 주말농장에 배추 흰 나비가 아욱 꽃보다 예쁘다. 날이 을씨년스러워서 그럴까. 엄마가 .. 김장 배추,무 배추, 무로 꽉 찼던 주말 농장이 텅 비었다. 배추를 도려내고 난 자리엔 우거지가 즐비하다. 우거지를 먹을 소가 없어서다. 11월 중순부터 김장이 시작된다. 배추, 무가 얼기 전에 김장을 해서 마당을 파고 독을 묻는 대신 김치냉장고를 꽉 채우는 것이다. 마당이 없어지면서 동네 사람들이 모여 집집마다 돌아가며 김장을 하던 떠들래한 잔칫날 같은 풍경은 사라지고 가족들의 연례행사다. 배추를 사서하다 이젠 절인 배추를 사서 무채에 갓, 파, 마늘, 고춧가루에 젓갈로 양념해 배추 속을 켜켜이 넣어 통을 채우면 김장 끝이다. 김장하는 날이면 빠지지 않고 먹던 가마솥에서 삶은 돼지고기는 절인 배추 잎에 올려 양념 속과 함께 싸 먹으면 새우젓에 먹던 그 맛과는 또 달랐다. 빨갛게 물든 양념 속을 넣어 꼭꼭 여민 배추를.. 쥐꼬리망초 쥐꼬리망초 꽃은 크기가 녹두보다 조금 작고 수수보다는 약간 크다. 푸른 잎 사이에 연보라색 꽃이 환해서 눈에 띈다. 화단에 꽃을 보려고 앉았다가 그곳에 있던 쥐꼬리망초를 보고 반가웠다. 녹두를 잎과 줄기사이에 박아 놓은 듯 꽃이 핀다. 꽃대를 올리면서 꽃이 펴서 바닥에 붙어서 피는 벼룩나물 꽃보다는 찍기가 수월하다. 사람 손을 덜 탄 곳에서 눈에 띈다. 잘 가꾼 화단이 얼 키고 설키더니 그곳에 쥐꼬리망초가 있다. 창문 밖으로 꽃이 어찌될까 살피시던 할머니가 탈이 나신 모양이다. 화단 옆에 의자를 놓고 파수꾼처럼 꽃을 보시면서 플라스틱 병에 담아 오신 물을 화단에 주시던 할머니를 통 뵐 수가 없다. 수선화가 피면서 히아신스가 피고. 풀협죽도, 참나리, 백합으로 꽉 찼던 화단이 지금은 국화 옆에 쥐꼬리망초가..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 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