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을 찍고/꽃 자서전 (266) 썸네일형 리스트형 벼룩나물 얼마 전까지도 난 벼룩나물을 걸레나물로 알았다. 지금도 엄마가 늘 부르셨던 그 이름, 걸레나물이 더 친숙해서 마음에 담아두고 벼룩나물로 부른다. 엄마랑 창칼로 나물을 뜯을 때면 바닥에 딱 붙어 있는 벼룩나물을 뜯으시면서 그러셨다. 모양은 이렇지만 삶아 무치면 오독오독 씹히는 맛이 괜찮다고. 벼룩같이 생긴 잎 모양 때문인지 씹히는 느낌이 벼룩을 잡을 때 나는 소리 때문에 붙은 이름인지 알 수는 없지만 딱 저다운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벼룩나물이 걸레라는 이름이 어색할 때는 꽃이 필 때다. 우리 집 마루에 놓여있던 젖은 걸레 같은 모습은 꽃줄기가 길게 자라면서 사라진다. 줄줄이 뻗으면서 마디마다 꽃이 피기 시작하면 걸레나물이라는 말이 쏙 들어간다. 꽃잎도 딱 제 잎처럼 벼룩 같은 꽃잎을 다섯 장씩 물고 있다.. 수선화 언 땅이 풀리자마자 제일 먼저 피는 꽃이 수선화가 아닐까한다. 봄을 기다리는 마음으로 수선화를 올려보려고 한다. 수선화가 피면서 나물로 먹던 냉이 꽃다지 꽃도 피기 시작한다. 추운 겨울 황량함을 몰아내기에 이만큼 환한 꽃도 드물 것이다. 나무에서 봄을 부르는 꽃이 매화라면 땅에서 봄을 부르는 꽃은 수선화일 것이다. 큰봄까치꽃이 필 때 같이 필지도 모르겠다. 큰봄까치꽃은 그야말로 하늘이 키운 들꽃이라 수선화와 같이 본 적이 없다. 다만 어림짐작을 해볼 뿐이다. 꽃 피는 시기가 비슷한 것 같다. 올해는 수선화가 폈던 곳을 찾아다니면서 보고 봄까치꽃이 폈던 화단을 찾아다니며 싹이 나는 시기와 꽃이 피는 시기를 비교해 봐야겠다. 수선화가 노랗게 핀 모습이 예뻐 관심을 갖다가 싹이 나고 잎이 지는 모습까지 보게 .. 히야신스 향기를 잡고 찾아갔다가 색에 더 끌린 건지. 지금은 주변을 꽉 채운다는 히야신스 그 꽃 향기가 떠오르질 않는다. 화단에 핀 이국적인 히야신스를 보고 플라스틱으로 투박하게 만들어 놓은 조화 같다는 생각을 했다. 이른 봄, 새싹부터. 동글동글하게 맺힌 꽃봉오리가 벌어지듯 피는 꽃까지. 다 커도 손바닥만 한 히야신스를 몇 년 봤다. 회양목으로 막아 놓은 화단에 꽃을 가까이서 보기 위해 사람 발길 따라 발걸음을 옮기면 창가에서 호통소리가 들리고는 했다. “이제, 그만 보고 가.” 목소리가 우렁차시던 할머니가 통 보이시질 않더니 화단에 히야신스도 사라졌다. 여름이 휴면기라는 히야신스는 구근을 캤다가 가을에 다시 옮겨 심어야 꽃을 오래 볼 수 있다더니. 몇 년을 그 자리에서 꽃을 피웠던 히야신스가 죽은 모양이다. .. 완두콩꽃 북한산 둘레길 주말농장에 완두콩 꽃이 피고 있었다. 지지대를 의지해 타고 올라가던 줄기에서는 꽃이 나비가 날아든 듯 했다. 장아리 꽃 위를 날던 나비가 완두콩 꽃으로 환생이라도 한 듯 나풀나풀 나비처럼 꽃이 피고 있었다. 긴 줄기는 나비 더듬이 같다. 꽃받침처럼 생긴 둥근 잎은 희끄무레 초록색 물감에 흰색을 풀어 놓은 것 같다. 유치원생이 어줍게 풀어 놓은 물감 같은 모습이다. 완두콩 줄기는 봄빛도 여름빛도 아니다. 완두콩은 파랗게 주렁주렁 열린다. 비로소 완두콩 꼬투리로 여름을 맞는 것이다. 완두콩은 한여름 고추를 딸 무렵 밥에 놓아먹거나 쪄서 간식으로 먹던 동부만큼이나 빠르다. 아니 더 빠른지도 모르겠다. 우리 집에서는 완두콩을 따 본적이 없다. 그래서 절기를 확실하게 알지 못하지만 주말농장에 열린 ..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