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진을 찍고/꽃 자서전

(266)
꽈리 빵빵하게 부푼 풍선 속에 든 열매를 꺼내 씨를 빼고 난 후 꽈리를 불었던 기억이 있다. 아주 오래 전 기억이라 정말 꽈리였는지 어사무사했는데 요즘 꽈리가 많이 눈에 띈다. 하얀 꽃은 열매에 비해 눈에 띄지 않는다. 하얀 꽃이 넓은 잎 사이에 파묻힌 듯 핀다. 꽃이 지고 맺힌 열매는 잎 색깔과 비슷해 자세히 보지 않으면 잘 눈에 띄지 않는다. 초록색 열매가 노르스름해지다 주황색으로 물들기 시작하면 그 때야 꽈리가 있구나한다. 주황색 열매는 애니메이션에서 본 둥둥 떠서 밤을 밝히는 홍등 같다. 화단이 환하다. 화단에 낙엽이 지고 발걸음이 뜸해지면서 종이풍선 같은 주황색 꽈리는 잊고 있었다. 한겨울 화단에 얼금얼금 거미줄처럼 낡은 공 안에 보석같이 빛나는 것이 있어 보니 꽈리였다.
물양귀비 발바닥공원 연못에 하얀 꽃이 수련과는 달라 꽃 이름이 궁금해 짐작해 보며 검색을 했다. 위에서 내려다본 꽃술이 꼭 양귀비꽃을 닮아 있어 혹시나 하고 찾아보니 물양귀비란다. 꽃을 보고 꽃 이름을 알아가며 드는 생각은 꽃과 이름이 닮았다는 것이다. 참 잘 지었다. 산과 들, 물속에서도 닮은꼴은 이름이 같다. 국어책속에 영희, 철수가 여럿이었던 것처럼. 흐르는 것도 흐르지 않는 것도 아닌 연못 속에 물양귀비는 아이보리색, 하얗지도 노랗지도 않아서인지. 달밤에 달그림자 같다. 환한 것도 환하지 않은 것도 아니라서 뭘까 하는 궁금증으로 다가간다.
봉숭아 봉숭아가 봉선화란 걸 나중에 알았다. 내겐 손톱에 꽃물을 들이던 그 봉숭아가 더 친숙하다. 거름자리 옆에 있던 꽃밭에 봉숭아꽃이 피기 시작하면 엄마는 꽃을 따고 피마자 잎을 따셨다. 장마 지기 전 꽃잎을 따서 새들새들하게 말리시면서 무명실을 감기 좋을 만큼 끊어 놓으셨다. 댓돌에서 둥근 돌로 백반을 넣은 봉숭아를 빻아 피마자 잎으로 싸서 무명실로 묶어 주셨다. 밤새 욱신욱신하는 손가락과 발가락으로 잠을 설쳤다. 새벽닭이 울기를 얼마나 기다렸는지. 손가락에 더 잘든 봉숭아물을 보며 실망했었다. 물들인 것도 잊을 때쯤 손톱이 예뻐졌다. 어느 해 잘라낸 봉숭아 곁가지를 주워 물들인 적이 있었는데 옛날 꽃물보다 잘 들어 놀랐다. 봉숭아 꽃물은 봉숭아 잎물 이었을까. 꽃물이 김치 국물이라면 잎물은 고추장 빛깔이었다.
맥문동 파랗게 난초 같은 잎이 화단을 꽉 채우더니 길쭉하게 꽃대를 올리고 있다. 맥문동은 보라색 구슬을 꽃대에 꿰고 있다가 꽃잎이 열리면서 꽃이 핀다. 나무 그늘 밑에 햇살이 들기 시작하면 빛을 받아 촛불을 켜 놓은 것 같다. 진초록 잎으로 어둑어둑 밤이 깊어지다가 달빛이 비치는 것처럼 환해진다. 맥문동 꽃은 홀로 피는 꽃도 예쁘지만 무리 지어 피면 꿈꾸는 듯 예쁘다. 해가 잘 드는 곳보다는 담장 밑이나 나무그늘 밑에서 무성하게 잘 자란다. 꽃이 필 때는 빛이 드는 느낌이다. 새까만 열매는 눈 속에서도 빛이 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