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을 찍고 (396) 썸네일형 리스트형 옥잠화 옥비녀 같다고 해서 옥잠화란 이름이 붙었다고 했다. 긴 머리채를 틀어 꽃봉오리를 똑 따서 꽂는다면 그도 괜찮겠다 싶다. 옥잠화는 그 비녀 모양이 꽃 이였다가 지는 줄만 알았다. 꽃이 필 때 그곳을 지나가지 않았던 건지 꽃은 한참 후에 보았다. 척박한 곳에서 자라 옥잠화가 잘다 싶어 옥잠화로 분류해 놓았던 흰 비비추를 따로 떼어놓았다. 하나하나를 보면 비슷하다. 혼란스러웠던 것은 비비추와 비교할 때 검정색 꽃술을 가지고 있는 보라색 비비추와는 다르게 흰 비비추 꽃술은 옥잠화 꽃술처럼 노랗다. 옥잠화 꽃술은 흰 꽃잎에 묻힐 정도로 엷은 노랑색 꽃술이 낚시 끝에 매달린 미끼 모양으로 달랑달랑 매달려 있다. 옥잠화가 폈다 진 모습은 꽃봉오리가 빵하고 터진 바람 빠진 풍선 같다. 낮에 폈다 졌던 것인지. 몇 년을.. 방울토마토꽃 방울토마토란 이름을 알기 전 새끼토마토라고 불렀다. 주먹만 했던 토마토가 크기 전 새끼 정도로 생각했던 것이다. 방울토마토는 먹기가 좋다. 토마토 줄기에서 꽃이 피고 자라는 모습도 아버지가 심으셨던 그 토마토랑은 다르다. 노란 꽃이 줄줄이 피고 나면 방울토마토가 줄줄이 열리고 줄줄이 익는다. 그 모습이 머리를 양 갈래로 묶었던 방울 같다. 방울토마토를 옛날처럼 따면서 먹는다면 남는 것이 있을까 싶을 정도로 작다. 그래서 그런지 정말 한꺼번에 많이 달린다. 서리겆이를 한다면 장아찌를 만들기에 적당한 크기다. 할머니가 계셨던 친구 집에서는 파란 토마토로 장아찌를 만들었다. 파란 토마토가 고추장 물이 들어 도시락 반찬이 되곤 했는데 흑색이 된 토마토를 참기름에 무친 그 장아찌는 정말 맛있었다. 꽃기린 꽃기린에 동그란 꽃을 보면 가시 돋친 억센 본가지에서 푸른 싹을 틔우고 꽃이 폈다는 사실을 잊곤 한다. 밖에 내어 놓은 화분 중에 가장 눈길을 끄는 꽃은 꽃기린이다. 내 눈에 익숙하고 친숙해서 눈에 띄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아는 분이 주신 꽃기린을 사무실에서 키우다 뿌리가 썩어 죽은 적이 있다. 햇빛을 좋아하고 물은 싫어하는 꽃기린이다. 꽃기린은 환경에 따라 모습이 다르다. 그늘에서는 잎이 웃자라고 물을 적게 주면 억세고 거칠게 자란다. 가시가 있어 어린아이 손이 닿는 곳은 피하고 실내에서 키울 때는 해가 잘 드는 창문 옆에 두는 것이 좋다. 남향에서 잘 퍼지고 꽃이 잘 핀다. 물을 줄 때는 푹 주고 여름에는 해바라기를 위해 밖에 화분을 내놓는다. 루꼴라 쌈 채소다. 주말농장에 꽃이 예뻐 자세히 보니 쌈 채소 루꼴라가 쇠서 바람개비 같은 꽃을 피우고 있었다. 바람이 불기라도 하면 꽃이 바람에 빙그르르 돌 것 같은 모습에 벌과 나비가 날아들었다. 꽃잎에 줄무늬가 특이하다. 중앙에 솟은 꽃술은 바람개비를 만들 때 끝부분을 모아 압정을 박아 놓은 것 같다. 긴 줄기를 따라 꽃이 핀다. 루꼴라 잎은 내가 토끼풀로 학교에서 뚝뚝 꺾어오던 고채, 씀바귀 종류와 비슷하다. 이름처럼 꽃은 이국적이다. 장아리처럼 꺾어 먹을 수도 있겠구나하는 생각을 한다. 무에서 길게 올라오며 분홍 꽃이 피는 굵직한 장아리처럼. 잎을 먹을 수 있으니 꽃과 줄기를 따서 꽃은 비빔밥에 넣고 줄기는 고추장에 푹 찍어 먹어도 말릴 사람은 없을 듯싶다. 이전 1 ··· 58 59 60 61 62 63 64 ··· 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