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을 찍고 (396) 썸네일형 리스트형 가시박 가시박 오래전에는 그랬다. 물이 있고 흙이 있으면 잡풀이 우거지기 전에 씨를 뿌렸다. 돌로 금을 그어가며 너도나도 내 땅이 아니더라도 노는 땅이 있으면 논둑에 콩을 심듯 먹거리를 심었다. 왕숙천에 가시박 넝쿨도 그런 줄 알았다. 여린 잎을 따다가 쪄먹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며 당연히 호박넝쿨인 줄 알았다. 넓게 퍼진 넝쿨을 보며 호박꽃을 찾다가 참외 넝쿨인가? 오이 넝쿨인가? 노란 꽃이 보이질 않아 덜 익은 참외를 찾다가 오이를 찾다가 새끼손톱만 한 흰색에 가까운 연초록 꽃을 발견했다. 고개를 숙여 참외를 찾지 않았다면 볼 수 없었을 꽃이 부끄러운 듯 거기 있었다. 안동오이에 접붙이용으로 들여온 귀화식물이라니. 접붙이기에 실패하고 버려진 가시박이 하천에 사람이 심고 가꾼 듯 밭을 이뤘다. 가시박 넝쿨이 .. 단풍잎돼지풀 단풍잎돼지풀 왕숙천에 내 키보다 더 컸던 단풍잎돼지풀의 꽃말은 행복한 연애, 재결합. 꽃말과는 달리 생태계를 교란시킨다는 단풍잎돼지풀은 해바라기만큼 키가 훌쩍 컸다. 단풍잎돼지풀 꽃은 멀리서 보면 들깨밭에 영글기 시작하는 들깨 송이 같다. 가까이 가서 보니 노란 물감을 점점이 찍어놓은 듯이 꽃이 늘어지듯 피고 있었다. 거미줄에 노란 꽃가루가 묻은 걸 보면 그 모습으로 폈다지는 것인지. 낮설지는 않은데 꽃을 본 적이 없다. 꽃을 자세히 본 것은 오늘 사진을 찍으면서다. 잎 모양은 샆잎국화를 닮았고 잎의 거친 표면은 돼지감자잎이다. 자태는 삼잎국화보다는 돼지감자다. 들풀이지만 서서 하늘을 보며 사진을 찍을 수 있는 몇 안 되는 꽃이다. 피 피 “논에 피도 안 난다.”라는 ‘피’는 날이 가물거나 땅이 나빠서 억세고 번식력이 좋은 피조차도 자라지 못할 정도라는 의미로 쓰이는 ‘피’가 이 벼 같은 ‘피’다. “피죽도 못 먹었냐?” 기운이 없고 비실비실한 사람에게 했던 말이다. 벼가 재배되기 힘든 산간지나 북부지방의 냉수탑 또는 냉수가 들어오는 논의 입구나 샘둘레에서 재배했었던 구황식물이다. 쌀과 달리 맛이 없어 그랬을까. 아버지에게 피는 잡초였다. 아버지는 논에 벼보다 웃자라는 피와 전쟁을 벌이셨다. 지금쯤이다. 김 매기때 뽑아내지 못한 피를 벼를 베기 전 잘라내시고는 하셨다. 피는 사료용으로 쓰인다. 줄기와 잎은 작물의 줄기 중에서도 연해서 가축의 사료에 적합하다. 그때 논에서 잘라내신 피로 아버지는 소죽을 끓이셨을까. 논두렁에서 베어낸 소꼴.. 땅콩꽃 땅콩꽃 땅콩도 꽃이 핀다. 많이 본 땅콩싹에 노란꽃. 진짜 꽃인가 싶어 살펴 본다. 땅콩 줄기에 꽃이 맺힌게 맞다. 검색을 해보니 땅콩도 꽃이 있었다. 그때는 왜 몰랐을까. 땅콩 꽃말이 그리움이란다. 그때는 정말 싫었던? 잘 먹지 않았던 엄마가 볶아주신 땅콩, 땅콩 뽑는 날이면 삶아주시던 땅콩이 그리워지는 걸 보면 겨울방학내내 땅콩 껍질을 까던 그 기억도 이젠 잊힌 것이다. 안방에 땅콩자루를 놓고 온가족이 땅콩껍질을 깠다. 커다란 푸대 자루 하나를 다 까야 가마솥에 한번 볶을 땅콩밖에 나오질 않던 그 땅콩을 엄마는 겨울방학을 지내고 서울로 올라가시는 고모님께 가마솥에서 달달 볶아 싸주시고는 하셨다. 밭에서 뿌리째 뽑아온 땅콩을 마당에 널고 지붕에 널었다가 쇠스랑같은 것에 훓어 싹에서 따낸 피땅콩을 보관.. 이전 1 2 3 4 5 6 7 8 ··· 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