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419)
능소화1 묵은 가지에서 나는 새싹도 예쁘지만 꽃송이가 다 떨어지고 난 가을 화려했던 꽃과는 달리 그러데이션으로 노랗게 물드는 단풍도 좋다. 진홍색 꽃잎 속에 꽃술이 금반지 위에 장식처럼 또 꽃이 핀 것 같다. 종이 공 같은 꽃송이가 툭 터진 진홍색 능소화에는 개미들이 분주하다. 벌들은 깊은 꽃 속을 날아든다. 능소화 꽃가루는 곤충 눈엔 괜찮은 걸까. 햇볕을 등지고 핀 능소화는 아침햇살에 맑고 투명해서 다른 꽃만 같다. 마분지 같던 능소화가 햇빛을 받으면 창호지처럼 얇아지는 기분이 든다.
대추나무 대추나무에 가시는 길고 뾰족해서 생인손을 앓을 때 떼어냈다. 콧김을 쏘인 가시 끝으로 곯은 자리를 찔러 고름을 짜내곤 했다. 6월 대추 꽃이 폈다지고 나면 파란대추가 맺히고 붉게 익어 간다. 대추가 붉게 익기시작하면 추석이었다. 대추를 털어 차례를 지냈다. 장대로 두드려 맞으면서 대추를 떨구고 된서리를 맞으면서 잎이 진다. 앙상한 대추나무에 흰 눈이 쌓이면 말려두었던 대추로 차를 끓이곤 한다.
접시꽃2 처음 꽃을 찍을 때는 꽃술만 보고 찍었었다. 접시꽃을 그냥 볼 때는 보지 못했던 모습이었다. 꽃술이 얼마나 예쁘던지. 벌처럼 파고들었다. 장난감을 사 달라 땡강 부리는 아이모습 같았다. 사진을 찍은 시기를 접시꽃을 보면 알 수가 있다. 꽃술만 찍다 꽃잎이 보이더니 이젠 전체를 찍는다.
접시꽃1 6월, 벌써 꽃이 피기 시작했다. 꽃대가 위로 자라면서 꽃이 핀다. 꽃이 피기 시작하면 끊임없이 피고 진다. 꽤 오래 꽃을 볼 수 있다. 다년 생이다. 눌러 놓은 듯 납작한 꽃씨를 뿌리면 그해는 잎만 푸르다. 그렇게 한해 겨울을 보내고 나면 매해 담장위로 얼굴을 내밀며 피어난다. 접시꽃은 사람 키보다 더 커서 마주보거나 멀리서도 꽃핀 것을 알 수 있다. 꽃가루 범벅이 된 벌들이 귀엽기까지 하다. 활짝 핀 꽃은 열린 마음자리다. 접시꽃은 열어놓은 창문으로 방안을 엿보기도 하는데 그 모습에 마음까지 환하다. 접시꽃은 홑잎에 겹잎까지. 색깔도 빨강, 하양, 연분홍에 흑색까지 다양하다. 벌이 꽃잎 색깔을 보고 찾아오는 것인지. 접시꽃 꽃향기를 난 알지 못한다. 접시꽃은 아련한 그리움이다. 시골집이 떠오르고, 어..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