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419)
씀바귀꽃 씀바귀는 다 같은 씀바귀인 것 같지만 씀바귀 꽃 색깔을 보면 참 다양하다. 모양도 색깔도 같은 것 같지만 비슷하면서도 다르다. 논두렁에 노랗게 폈던 꽃은 씀바귀 꽃이었다. 얼음이 풀리다 얼며 콩나물시루에 콩나물처럼 자라 땅이 들뜨기 시작하면 씀바귀를 캤다. 호미로 논두렁이 무너질 정도로 씀바귀를 캐고 나면 남아있을 것 같지 않은 논두렁에서 씀바귀 꽃이 노랗게 아지랑이처럼 출렁거렸다. 씀바귀 꽃은 논두렁 밭두렁 산길 들길 가릴 것 없이 핀다. 희뿌옇게 꽃들이 피기 시작하면 무더운 여름이 시작되는 것이다. 씀바귀는 복숭아밭에 많았다. 풀을 뽑아낸 자리에 납작 엎드려 뿌리를 내리고는 복숭아나무 밑이 환하게 씀바귀가 꽃을 피웠다. 어느 날 풀이 자랄 새 없이 은행나무 밑에 풀을 뽑아서 삭막하다 싶었는데 얼마 뒤..
스크렁 스크렁을 처음 본 건 중랑천에서였다. 강아지풀보다 몇 배는 큰 스크렁을 보며 이젠 강아지풀도 돌연변이가 있나보다 했었다.  그렇게 보이기 시작한 스크렁이 지금은 우이천, 방학천에 강아지풀보다 많다. 축축 늘어진 잎에서 삐죽 올라오는 스크렁.  바짝 서서 올라온 스크렁은 꽃술이 맺히기 시작하면 축축 늘어져 쌓아놓은 축대를 덮는다. 비가 내릴 때 맺힌 물방울은 스펀지 같다.  한겨울 눈을 맞고 선 메마른 스크렁은 꽃대를 올리던 첫 모습으로 꼿꼿하게 서 있다. 봄인 듯 여름인 듯 빛바랜 모습으로 천변에 있다.  축축 늘어지며 꽃이 피는 모습이 강아지풀과는 달라 이름을 찾아보았다. 스크렁을 어렸을 때는 물가나 들판에서 본적이 없다.  낯선 이름처럼 타국에서 건너온 강아지풀 종류일 것이다. 물가를 꽉 채우고 있는..
산사나무 출근길에 어느 댁 담장에서 피는 흰 꽃이 예뻐 사진을 찍기 시작했다. 팥배나무 꽃보다 조금 더 큰 꽃이 향기는 밋밋하다. 단풍잎처럼 갈라진 나뭇잎이 단풍잎보다 더 도톰하고 반질반질하다. 마당이 비좁게 자리 잡은 그 댁에 산사나무는 고목이다. 대문 앞에서 서성대며 사진을 찍을 때면 그 댁 앞마당에 있던 개가 찢어대곤 했는데 이젠 발걸음도 익숙한지 한참 머물러도 조용하다. 어느 날, 마당에 사람 그림자가 반가워 대문을 두드렸다. 그때는 몰랐던 나무이름이 궁금해서였다. 주인어른도 모르신다던 그 나무. 약용으로 쓴다더라는 그 나무 이름은 산사나무였다. 9월 중순부터 열매가 빨갛게 변하기 시작한다. 그러면서 사람 관심을 끄는 나무. 사진을 찍고 있으면 오가는 분들이 꽃사과 같다고도 하시고 대추인가하며 지나가신다...
풍접초 추석이 지나고 나면 꼭 운동회가 열렸는데 그 운동회 날 부채춤을 출 때 쓰던 족두리 같은 꽃이 풍접초다. 꼭 닮았다. 족두리를 쓴 친구들이 떠오르고 이마 위에서 찰랑대던 구슬이 떠오르는 꽃, 잔칫날 같던 학교운동장을 데려오는 꽃이 풍접초다. 어쩌면 풍접초를 보고 족두리를 만들었던 것은 아닐까. 꽃처럼 예쁘게 살라고 결혼식 때 곱게 단장했던 것은 아니었을지. 키가 자라면서 꽃이 핀다. 먼저 핀 꽃은 씨가 맺혀 늘어지고 위로 올라가면서 꽃이 핀다. 긴 수염처럼 자라다 씨방이 맺힌다. 씨방이 바람에 찰랑대기 시작하면 꽃대는 더 튼튼해지고 풍접초도 담장을 넘어 고개를 내밀면서 화단을 꽉 채우는 큰 꽃이다. 풍접초 꽃이 활짝 핀 모습은 나비가 꽃밭을 나는 것 같다. 꽃 위에 앉아있던 나비가 날아갈 것만 같은 모습..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