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을 찍고/꽃 자서전 (266) 썸네일형 리스트형 황새냉이 황새냉이는 흰꽃이 피면서 눈에 띄기 시작한다. 청심천을 오르다보면 나무그늘밑 어룽대는 햇빛 아래 길가 옆에서 볼 수 있었던 황새냉이 꽃이다. 양지바른 곳이면서 눅눅한 곳을 좋아하는 황새냉이다. 방학사거리에 인공 시냇물가에 황새냉이 꽃이 새하얗게 핀다. 그래서인지 고향생각이 참 많이 나는 곳이다. 도심 한복판에 옛날 시골풍경을 재현해 놓은 것 같은 곳이다. 그곳에는 뱀딸기 노란꽃과 함께 황새냉이 하얀꽃이 정말 전설 속의 이야기 한 자락을 깔아놓은 것 같다. 황새냉이 꽃말이 수컷 황새가 암컷 황새를 보호하기 위해 언 강물에 떨어지면서 깃털을 펼쳤다는 말처럼 ‘그대에게 바칩니다.’ ‘사무치는 그리움’이라고 한다. 그 황새 깃털이 털어진 자리에 핀 꽃이 황새냉이 꽃이란다. 꽃줄기가 황새 다리를 닮아 붙은 이름이.. 자두나무꽃 어느 댁 마당 앞에서 본 흰 꽃이 자두나무꽃이라는 건 한참이나 지나서 알았다. 중고등학교를 가는 산 언저리에 친구네 자두밭이 있었다. 그랬음에도 불구하고 자두나무꽃을 기억하지 못했던 것이다. 친구네 자두는 여름방학이 시작될 무렵 막 익기 시작했다. 방학 동안에 만나지 못할 친구와 친구네 자두밭 자두나무 밑에 앉아 아리도록 시린 풋자두를 따 먹곤 했다. 탁구공 만한 자두가 여름 방학 때면 주먹 만하게 커진다고 했다. 주먹 만해진다는 자두를 본 적은 없다. 고추를 따던 여름방학이 끝나고 개학을 하면 자두밭은 늘 텅 비어 있었다. 밭이 꽉 차게 푸르던 나뭇잎까지 후줄근해진 기분이었다. 그 자두밭에도 봄에는 흰 꽃이 폈었던 건지. 학교를 가는 길 옆에 있던 친구네 자두나무밭에서는 자두나무꽃을 본 기억이 없다. .. 하늘마 하늘마는 사촌 동생이 보내준 고구마 속에 있었던 모양이다. 엄마가 나눠 주신 고구마 속에 감자만 한 크기의 그 못난이 먹거리가 하늘마였다는 걸 나중에야 알았다. 날로 먹어도 되는 건지 쪄먹어야 되는 건지 알 수가 없어 까지지 않는 껍질을 벗기니 마처럼 늘어지는 진액에 마의 개량종인가 생각했었다. 사각사각, 부드럽게 목을 타고 넘어가던 마보다는 되던 하늘마였다. 하늘마를 감자 삶듯 삶으니 딱딱해진 껍질이 캡슐처럼 벗겨지면서 속살이 드러났다. 덜 익은 감자같이 썰컹거리는 맛에 덜 익었나 했었다. 감자처럼 땅 속에서 캐는 줄 알았던 하늘마를 어느 댁 담장에서 보고 놀랐다. 으아리를 심어 지지대를 설치해 놓은 것처럼 조롱박 넝쿨이 지붕 위를 덮듯 그렇게 담장 휀스에 시원하게 드리운 하늘마 넝쿨에 어린아이 주먹만.. 귀룽나무꽃 방학동 정의공주묘를 가는 길 옆 가로수는 벚나무보다 귀룽나무가 더 많다. 귀룽나무가 한창 피는 4월 말쯤엔 초록색 잎 사이로 핀 귀룽나무꽃이 구름 같다. 귀룽나무 꽃은 우이동 솔밭공원에서 처음 봤다. 커다란 고목 위에 흰 꽃을 보며 아카시아꽃인가 했었다. 가까이에서 본 귀룽나무꽃은 늘어진 모습이 이삭 같다. 귀룽나무 꽃말이 ‘사색, 상념’이라고 한다. 처음 만난 꽃이 워낙 고목에 높은 데서 폈던 꽃이라서 그랬을까. 꽃이 궁금하기도 하고 열매도 궁궁했던 귀룽나무다. 아직 열매를 본 적은 없다. 길가에서 무더기로 피고 있던 귀룽나무꽃이 반가워 사진을 원 없이 찍었다. 풋풋한 시골아이 같은 꽃을 열매가 맺히는 걸 기다리지 못하고 올린다.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