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진을 찍고/꽃 자서전

(266)
싸리꽃 연산군묘를 넓게 두른 울타리 옆에 늘어진 싸리꽃을 보며 연산군묘가 동네 뒷산에 있던 잘 다듬어 놓은 어느 댁 선산 같다는 생각을 했다. 역사의 먼 이야기가 거리감을 확 좁혀오는 느낌이다. 이웃집 할아버지 같은 느낌으로 다가온 건 집주변에 늘 있던 싸리꽃이 거기 있어서다. 우리 집은 산 밑에 있었다. 아니 우리 동네가 산을 병풍처럼 두른 산속에 있었다. 그 때문인지 참나무 밤나무가 정원수 같은 산동네였다. 그 산동네에는 축축 늘어지는 싸리꽃이 참 많이 폈었다. 마당에 붉은 흙을 쓸던 긴 싸리 빗자루 대부분이 밭 주변에 심었던 녹색싸리 반 이 싸리나무 반. 그랬던 것 같다. 싸리나무를 많이 잘라 묶어 마당에 떨어진 낙엽이나 굵은 모래를 쓸어 내던 빗자루가 몽당 빗자루가 되면 어김없이 또 빗자루가 생기곤 했다..
라일락 라일락꽃이 지고 나서일까. 그랬을 것이다. 라일락 나뭇잎을 손으로 비벼 친구들 입에 문대고 달아나곤 했었다. 그 맘 때 우리들은 다 알았다. 라일락 잎이 쓰다는 걸. 한 번씩은 서로에게 장난을 쳤던 것 같다. 지독하게 쓴맛. 그 쓴맛은 라일락 향기만큼이나 아주 길게 남았었다. 단맛은 꽃향기로 실려 보내고 고단함만 남았던 것인지 독하게 쓴맛이었다. 라일락이란 이름보다 수수꽃다리가 더 정겹다. 긴 줄기 끝에서 꼿꼿하게 서있다 익을수록 땅으로 고개를 숙이는 수수가 떠올랐을까. 꽃이 피기 전 꽃봉오리가 빨간 수수를 닮았다. 우리 집에는 없던 라일락 꽃향기가 봄이면 집안에 꽉 찼었는데 몇 집 건너 한 집씩 라일락 나무가 있었다. 봄이 되면 온통 라일락 꽃향기로 가득했다. 교실 창문을 통해 실려 온 향기로 학교 화..
홍화 홍화가 누렇게 씨방이 맺혔던 걸 보면 염색을 위해 홍화를 심었던 것이 아니라 농사지으신 분 말씀처럼 홍화씨로 차를 마시기 위해 심으셨던 것이다. 오래된 기와집 앞에는 옛날에는 마당으로 쓰였을 법한 곳에 텃밭이 있는데 그곳에는 매해 아욱 상추 쑥갓들이 세서 텃밭이 꽉 차게 꽃이 피고는 한다. 어느 해에는 그곳 밭 한 귀퉁이에 안개꽃이 하얗게 피더니 그 옆으로 홍화 꽃이 샛노랗게 폈었다. 처음 본 꽃이라 밭에 들어가 꽃을 자세히 보고는 했다. 엉겅퀴 같은 꽃이 노랗더니 붉게 변했다. 억센 가시가 돋친 잎을 만졌다가는 상처를 입을 것 같아 보기만 했었다. 지나갈 때마다 꽃 이름이 궁금했는데. 담배를 피우고 계시는 텃밭 주인에게 물어보니 홍화라고. 몸에 좋아 차로 마신다는 그 홍화가 맞나 싶어 몇 번을 여쭤봤었..
일본 잔대 일본 잔대 꽃 속에 도라지꽃이 숨어있었다. 따로 놓고 보면 크기며 색깔이 닮은 구석이 없는데 분류를 해 놓은 사진을 다시 봐도 도라지꽃이다. 몇 번을 망설이다 오려냈다. 꽃이 활짝 핀 모습이 비슷한 각도에서 찍으니 헷갈린 것이다. 너무 밝게 찍어 도라지꽃이 엷다. 연보라색 도라지꽃이 일본 잔대 꽃이랑 똑 닮았다. 일본 잔대 꽃은 막 피기 시작할 때는 초롱꽃을 닮기도 했다. 초롱꽃이 창호지 꽃 같은 느낌이라면 보라색 일본 잔대 꽃은 양장점에서 맞춰 입은 외출복 같다. 줄줄이 피는 꽃이 이제 막 맞춤 정장을 차려입은 멋쟁이들이다. 꽃잎 끝에 곤두선 솜털을 보며 또 다른 느낌이다. 신비롭다. 사진의 또 다른 매력이다.

728x90